이러쿵 저러쿵 말이 많던 이재명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방안이 발표됐다. 이 정부조직개편(안)의 내용을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담아 심의·의결해야 확정된다. 역대 정부조직개편은 여소야대 국면에서 지지부진한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여당인 민주당이 절대다수 의석을 점유하고 있어 일사천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이재명 정부의 주요 조직개편 방향을 살펴본다.
▣ 기획재정부→기획예산처(국무총리 소속),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는 재정경제부로 개편하여 경제정책 등을 맡고, 기존의 예산 기능은 기재부에서 분리하여 국무총리 소속 기획예산처에서 담당하도록 한다.
▣ 금융위원회→금융감독위원회
금융위원회를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하여 금융감독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기존 금융위의 국내금융(금융정보분석원 포함)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이관한다.
▣ 환경부+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기후에너지환경부
가장 논란이 많은 정부조직 개편 방향이다. 산자부의 에너지 분야를 분리하여 환경부에 이관하면서 환경부를 기후에너지환경부로 확대 신설한다. 다만, 자원산업 및 원전수출은 산자부 업무로 남기면서 산업통상자원부의 명칭을 산업통상부로 변경한다.
▣ 방송통신위원회→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이진숙 위원장 논란으로 연일 시끄러운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신설한다. 위원 수를 기존 5인에서 7인으로 늘린다.
▣ 검찰청→공소청, 중대범죄수사청
검찰청을 폐지한다. 공소 제기·유지를 위해 법무부장관 소속 공소청을 신설하고, 중대범죄 등 수사를 위해 행안부장관 소속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한다.
▣ 통계청→국가데이터처
국가 통계데이터 관리 강화를 위해 통계청을 국무총리 소속 국가데이터처로 격상한다.
▣ 특허청→지식재산처
지식재산의 총괄 조정 및 관리를 위해 특허청을 지식재산처로 격상하며 국무총리 소속으로 이관한다.
▣ 기타 정부조직 개편방향
과기부, 중기부, 고용노동부, 여가부는 아래와 같이 조정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총리를 신설하고, AI 기반 정책강화를 위해 전담부서(실)를 설치한다.
- 중소벤처기업부: 복수차관제를 도입하여 2차관이 소상공인을 전담한다.
- 고용노동부: 현행 산업안전보건본부(실장급)를 차관급으로 격상한다.
- 여성가족부: 성평등가족부로 개편한다.
※ 개편 후 정부 기구도
정부가 발표한 개편방향대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의결되면 현행 16부 3처 20청 6위원회는 19부 6처 19청 6위원회로 개편된다. 개편 후 정부기구도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슈&쟁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수막 정치, 이젠 끝내자! (2) | 2025.09.04 |
---|---|
국회의원 체포동의안은 어떻게 생겼을까? (0) | 2025.09.03 |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리뉴얼 평가 (2) | 2025.08.29 |
메틸니코틴: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3) | 2025.08.21 |
[국회윤리특별위원회] 국회의원을 징계할 수 없는 이유 (4)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