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2대 발의

디지털 관광 주민증

by 레몬컴퍼니 2025. 7. 29.

원칙적으로 정부의 정책사업은 법률과 시행령에 근거해야 한다. 예외적으로 법령 없이 자체 규정을 토대로 추진하는 사업이 있는데, 이 경우 사업의 지속성이나 예산확보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2022년부터 시작한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이 그런 경우다. 김미애 의원이 발의한 관광진흥법 개정안은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의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법안이다.

디지털 관광 주민증

▣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

이 사업은 인구감소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시작한 일종의 ‘명예주민증’ 발급 사업이다. 관광주민증을 소지한 관광객은 해당 지역 여행 시 관람, 체험, 식음료, 숙박, 쇼핑 등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의 사업인데, 주민증 발급업무는 행안부에서 플랫폼을 제공한다.

디지털 관광주민증 | 대한민국 구석구석

 

디지털 관광주민증 |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구감소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의 관광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받고, 지역 여행에 필요한 혜택도 챙기고, 지역 상생 가치가 있는 여행을 실천해보세

korean.visitkorea.or.kr

현재 10개 시도 43개 지역에서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가맹 사업장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그동안 관광주민증은 <대한민국 구석구석> 사이트에서 발급해왔다. 지역 관광자원 홍보, 재방문 유도 등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비교적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티맵(TMAP)에서도 관광주민증 발급

2025년 7월 29일부터는 티맵(TMAP)에서도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정부의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티맵 앱을 연계해, 관광객이 티맵 내비게이션에서 지역의 맛집, 카페 등을 검색할 때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용처와 할인 혜택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여름 휴가 준비 티맵이면 끝"…티맵,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 지원

 

"여름 휴가 준비 티맵이면 끝"…티맵,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 지원

티맵모빌리티가 ‘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특정 지역을 방문하는 여행객이 모바일로 손쉽게 발급받아 현지 가맹점에서 다양한 혜택을 누

n.news.naver.com

사용자는 티맵에서 발급받은 관광주민증 QR코드로 정부 앱에서 쓰던 디지털 관광주민증과 동일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부의 공공데이터를 민간과 연계하여 공공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만하다.

▣ 김미애 의원, 관광진흥법 개정안(2025-7-25)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은 그동안 법률적 근거 없이 추진돼 왔다. 내부 규정으로 운영해 온 것인데, 이런 경우 사업의 안정성 및 확장성에 제약이 불가피하다. 임미애 의원 발의 관광진흥법 개정안은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의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는 법안이다.

김미애 의원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문체부장관 또는 지자체 장은 체류형 관광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디지털 관광 주민증을 발급할 수 있다.
  • 디지털 관광주민증에 포함되는 혜택: ①지역 내 숙박시설, 음식점, 체험장, 박람회, 관광지 등에서의 할인 혜택 ②지방자치단체 또는 관광 관련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우선 이용 ③관광객 체류 실적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환급 등 인센티브
  • 문체부장관은 디지털 관광주민증 운영 실태를 매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디지털 관광주민증의 발급요건, 절차 및 혜택과 관광주민증 운영 실태 평가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사업 시행 후 법률 정비 사례

<천원의 아침밥> 사업의 경우 시범사업으로 시작했다가 큰 인기를 얻자 법률에 사업 근거를 명시했다. <불법광고물 경고 자동전화 발신> 사업도 일부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시작했으나 효과가 좋아 '옥외광고물 법률'을 개정해 사업 근거를 명시한 바 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업도 같은 맥락인데 좋은 입법례로 평가받을만하다.

티맵_디지털 관광주민증 서비스 이용화면